본문 바로가기
세상이야기

정부에서 시행 중인 3가지 지원금! 효도수당, 장수수당, 전입지원금

by 자유경제남자 2025. 2. 12.

1. 들어가는 말

정부에서는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여러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.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지원금을 받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몰라서 신청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
오늘은 정부에서 시행 중인 세 가지 주요 지원금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. 지원 대상과 신청 방법을 꼼꼼히 확인하시고, 해당된다면 꼭 신청하세요!


2. 정부지원금 종류 및 신청 방법

✅ 1) 효도 수당 (효행 장려금)

효도 수당은 부모님을 모시는 가정에 지원되는 지원금으로, 지역별로 지급 조건이 다를 수 있습니다.

📌 지원 대상 및 금액

  • 세종시: 3세대 이상 가족이 동일 주소에 거주하며, 85세 이상 부모를 부양하는 경우
    • 지원 금액: 월 10만 원 지급 (연 120만 원)
    • 신청 방법: 면·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
  • 경기도 과천시: 75세 이상 어르신을 모시고 3대 이상 가정을 구성한 경우
    • 지원 금액: 월 5만 원 (연 60만 원, 지역화폐 지급)
    • 신청 방법: 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
  • 경상북도 울진군: 80세 이상 직계존비속 4대가 함께 거주하는 경우
    • 지원 금액: 연 100만 원 (1년에 두 번, 각각 50만 원 지급)
    • 신청 방법: 주민센터 방문 신청

💡 신청 시 주의사항

  • 지역별로 신청 대상과 지급 방식이 다를 수 있으므로, 거주지 주민센터에 확인하세요.

✅ 2) 장수 수당

장수 수당은 일정 연령 이상의 어르신에게 매월 지원금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.

📌 지원 대상 및 금액

  • 경기도 연천군: 만 80세 이상 주민등록 거주자
    • 지원 금액: 월 2만 원 지급 (연 24만 원)
    • 신청 방법: 주민센터 방문 신청
  • 제주도: 만 80세 이상 어르신
    • 지원 금액: 월 2만 5천 원 지급
    • 신청 방법: 주민센터 방문 신청 후 계좌 입금
  • 경기도 이천시: 만 90세 이상 기초연금 미수급자
    • 지원 금액: 월 4만 원 지급 (연 48만 원)
    • 신청 방법: 주민센터 방문 신청

💡 신청 시 주의사항

  • 기초연금과 중복 지급 여부는 지역별로 다를 수 있습니다.

✅ 3) 전입 지원금

전입 지원금은 특정 지역으로 이사한 주민에게 지급되는 정착 지원금입니다.

📌 지원 대상 및 금액

  • 충청북도 괴산군: 타 지역에서 1년 이상 거주 후 전입한 경우
    • 지원 금액: 일반인 20만 원 / 대학생 70만 원 지급
    • 신청 방법: 전입 후 6개월 이상 거주 후 주민센터 신청
  • 강원도 양구군: 세대원 1인당 지원금 지급
    • 지원 금액: 1인당 20만 원 지급
    • 신청 방법: 전입 후 주민센터 방문 신청
  • 전라남도 함평군: 전입 지원금 지급
    • 지원 금액: 1인당 10만 원 지급
    • 신청 방법: 전입 후 6개월 이상 거주 후 신청

💡 신청 시 주의사항

  • 신청 후 일정 기간 거주해야 지원금을 받을 수 있으므로, 미리 조건을 확인하세요.

3. 마무리

오늘 소개해드린 효도 수당, 장수 수당, 전입 지원금은 의외로 많은 분들이 모르고 지나치는 지원금입니다. 거주지 주민센터에서 신청 가능하므로 꼭 확인 후 신청하세요!

👉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가족, 지인에게도 공유해 주세요! 😊